Introduction to Infectious Diseases : Host-Pathogen interaction
-
Cellular immune system (세포 매개 면역)은 virus-infected cells, intracellular bacteria, fungi에 효과적인 면역기전이다.
-
FUO의 정의 중 기간은 Illness duration of >= 3weeks로 바뀌었다.
-
FUO의 원인
-
FUO에서의 obligatory investigations : ESR, CRP, CBC & diff., e’, creatinine, total protein, ALP, AST/ALT, CK, ferritin, ANA, RF, PEP, urinalysis, Blood culture, urine culture, chest X-ray, abdominal USG, and Tuberculin skin test
-
4. 에서 나열한 검사들에서 FUO의 원인이 진단이 되지 않을 경우 chest and abdominal CT 촬영이 고려된다.
-
혈액 배양 검사 두 쌍 중 한 쌍에서만 배양되어도 병원균인 경우 : Staphylococcus aureus, Stereptococcus pneumoniae, Enterbacteriaceae, P. Aeruginosa, C. Albicans
-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의 진단 기준 : 1) 2일 이상, 하루 3회 이상의 설사 & 2) Toxin A or B가 대변에서 확인되거나, PCR or culture에서 Toxin-producing C. Difficile이 확인되거나 pseudomembrane이 대장에서 확인되는 경우
-
2주 미만의 발열과 목 통증은 감염으로 인한 reactive LN을 시사한다. 2cm 이상의 LN은 malignancy와의 감별을 요하기 때문에 조직검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젊은 나이의 여성에서 발견된 lymphadenopathy 증례에서 CT 상 LN들이 hypodense, homogenous하게 관찰되고, 조직 검사에서 핵의 파편들이 관찰되며, CD 68 & Myeloperoxidase 면역 염색 양성 소견을 보인다면 Kikuchi’s disease가 의심되는 증례이다. Kikuchi’s disease의 치료로는 NSAID를 사용한다.
-
(18 기출) 여자환자에서 발생한 LAP 증례로 조직검사에서 reactive follicular hyperplasia와 cluster of epithelioid cells, patches of monocytoid B lymphocytes granuloma가 형성된 소견이 확인된다. 이는 toxoplasmosis 증례의 전형적 조직 검사 소견이다. Toxoplasmosis의 대부분은 self-limiting하여 건강한 성인에선 observation 할 수 있다. (심각한 case이거나, 면역 저하자, 임산부에서는 pyrimethamine/sulfadiazine 사용 고려)
Immunization Principles and Vaccine Use
-
생백신의 접종 금기 사항 : 임신, 면역 결핍
-
65세 이상이라면 인플루엔자, 폐렴사슬알균, DTap, 대상포진에 대한 접종이 필요하다. 폐렴사슬알균백신의 경우 PPSV 23을 1회 접종하거나, PCV 13과 PPSV23을 순차적으로 1회씩 접종해야 한다.
-
(20 기출) 30세 임산부가 수두 환자에 노출되어 내원, 치료 방침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검사는? 혈청 varicella zoster IgG (VZV immunoglobuin 투약 필요성 확인 위해 시행)
-
A형 간염 백신 접종 시에는 1차, 2차 사이의 최소 접종 간격을 반드시 유지해야 한다. 늦춰서 맞는 것은 괜찮다. 그러나 앞당겨서 맞는 것은 면역 반응이 충분치 않을 수 있어 안된다. 6개월 이상의 간격을 반드시 유지해야 한다. 앞당겨서 맞은 접종력은 접종한 것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은 (가다실) 총 3회의 접종이 권고된다. 접종 시기를 놓쳐도 정한 횟수만 접종하면 된다.
-
파상풍은 한 번 걸려도 면역이 생기지 않고 반드시 백신을 통해서만 antitoxin이 생성된다. 성인형 Td, Tdap를 맞은 이후로는 10년마다 한 번씩 Td/Tdap를 맞아야 면역이 유지된다. 마지막 접종이 5년 이내라면 clear wound, dirty wound와 관계없이 Td 및 TIG 모두 불필요하다. TIG는 dirty wound에서 백신 접종력이 미상이거나 3회 미만일 때만 필요!
-
임산부에서 접종이 적극 권장되는 예방접종은 인플루엔자와 Tdap! (임신부는 임신 주수에 관계없이 인플루엔자를 10-11월에 접종한다)
-
6개월 미만의 영아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대상이 아니다.
-
임산부에서 백일해 예방접종의 적절한 시기는 임신 27주-36주 사이이다.
-
인플루엔자 약독화 생백신은 만 50세 이상의 상대적 고령 인구에서는 금기이다.
-
Zoster, MMR, Rotavirus, Varicella에 대해 현재 이용가능한 vaccine은 모두 생백신이다. 면역억제제를 쓰고 있는 환자에서 생백신의 접종은 금기이다.
-
고령에서는 인플루엔자 예방효과는 낮으나 인플루엔자로 인한 합병증 발생률을 유의하게 낮춘다. 항암치료 중인 환자라면 항암치료 시작 2주 전에 접종하도록 권고한다.
-
건강한 성인에게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예방접종
-
대상포진을 앓은 경우 자연면역을 얻는 효과가 있으나 예방접종을 원하는 경우 접종이 가능하며, 앓은 이후로부터 최소 6-12개월이 경과한 후 접종하는 것을 권장한다.
-
N95 mask는 공기 예방 지침에 따라 착용해야 한다. 공기 전파 가능한 경우는 (활동성 결핵, 홍역, 수두, 파종성 대상포진)이 있다. 이 질환군은 음압격리가 원칙이다.
'감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염학, CH 06. Diseases Caused by G(-) Bacteria (0) | 2022.03.19 |
---|---|
감염학, CH 05. Diseases Caused by G(+) Bacteria (0) | 2022.03.19 |
감염학, CH 04. Approach to Therapy for Bacterial Disease :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Infections (0) | 2022.03.18 |
감염학, CH 03. Clinical syndromes : Nosocomial Infections (0) | 2022.03.18 |
감염학, CH 02. Clinical Syndromes : Community-Acquired Infections (0) | 2022.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