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학

소화기 1권, CH 01. 소화기 질환을 가진 환자에 대한 접근

Lunarocean 2022. 3. 20. 17:39
  1. Salmonella and Shigella : MacConkey 배지에서 무색의 균주가 배양됨.
  2. E.coli (O157:H7) : sorbitol MacConkey 배지에서 흰색의 균주가 배양됨.
  3. Microscopic colitis : 염증성 설사를 일으키지만, 내시경적으로는 완전히 정상 소견임. 유발 약제는 NSAIDs, H2 Receptor blocker, PPI, SSRI 등이 있다. 병리학적 소견으로는 Intra-epithelial lymphocytes accumulation 이 있으며, 치료는 Loperamide가 기본이며, budesonide를 사용해 볼 수도 있다.
  4. Bile acid malabsorption에 의한 diarrhea Tx. : Bile acid sequestrant 인 cholestyramine이 적절
  5. Chronic constipation : 감별을 위해서 제일 먼저 해야하는 것은 Colonoscopy, 내시경에서 정상이면 Colon transit time 시행
  6. CKD 환자에서 가장 안전한 하제는 비흡수성 다당류이다. (Ex. Lactulose, glycerin, lactitol, sorbitol)
  7. 부피형성 완하제, 삼투성 완하제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short term rescue 목적으로 자극성 하제를 써볼 수 있다. 다른 하제들에 모두 효과가 없을 때는 Selective 5-HT4 agonist를 써볼 수 있다. (Ex. Prucalopride, tegaserod, renzapride)
  8. CCB는 변비를 유발할 수 있다. Metformin, misoprostol, colchicine은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9. Dyssynergic defecation : 직장내 압력이 높아지면 항문 괄약근 압력이 떨어져야 하는 것이 정상인데, 이 압력 변화의 불균형으로 인한 변비 ; 항문 막힘 증상과 잔변감이 주증상. 안정시 항문톤은 정상, 조임시 항문톤의 증가는 발생한다. 모의 배변을 수행할 때 perineal descent가 2-3cm 미만으로 나타난다.
  10. Recto-Anal Inhibitory Reflex가 소실되어 있는 Hirschsprung’s disease 환자에서 서행성 변비가 심하고 약제 반응이 없을 때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11. 위장관 출혈에 의한 unstable v/s의 경우에는 증상이 혈변으로 나타나더라도 상부위장관 출혈의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상부위장관 내시경이 우선이다.
  12. 소장에서의 대량 출혈이 의심되면 initial로 angiography를 시행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부위장관 내시경과 대장내시경 재검을 추천한다.)
  13. 위장관출혈에서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이후 출혈병소가 확인된 경우에는 2nd로 angiography 시행, but 출혈병소가 확인 안된 경우에는 2nd로 캡슐 내시경 고려. (캡슐 내시경 고려 적응증에서 복부 수술력 등이 있어 소장 협착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CT enterography를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14. 내시경적 지혈술 가운데서는 내시경적 Clipping이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다.
  15. 혈역학적으로 안정적이며 내시경적으로 Forrest 3에 해당하는 clean-based ulcer 소견이 확인될 경우에는 표준용량의 PPI로 외래 경과관찰이 가능하다.
  16. 내시경적 지혈술 시행 후에도 지속되는 활동성 출혈에 대해서는 angiographic intervention 또는 surgical Tx. 가 권고되고 있다.
  17. 상부위장관의 현성출혈에 의한 혈압저하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내시경 지혈술을 시행하는 것이 위험할 수 있다. Iatrogenic한 출혈 유발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이다.
  18. Stretta 시술은 내시경을 통해 LES 및 upper stomach에 radiofrequency energy를 전달하여 근육층을 두껍게 만드는 시술로 GERD 치료에 사용됨.
  19. Forrest classification : 1a ; pumping하는 현성출혈,  1b ; woozing hemorrhage, 2a ; visible vessel, 2b ; adherent clot, 2c ; hematin on ulcer base, 3 ; no sign of bleeding
  20. GI bleeding 환자의 경우 initial assessment에서 초기 v/s 상 저혈압, 빈맥이 있는 경우 수액 투여 및 수혈을 포함한 supportive care를 내시경적 치료보다 우선할 것이 명시됨.
  21. 급성 식도정맥류 출혈의 치료 : 일반적인 치료 (ex. 수액 공급 및 의식저하시 기도확보 등) + 약물 치료 (혈관수축제) + 내시경적 치료 (EVL)
  22. 식도 정맥류 출혈의 재출혈 예방 : EVL + nonselective beta blocker (Propranolol), EVL + BB 에 실패한 경우 구조요법으로 TIPS 를 고려., Liver transplantation도 고려.
  23. 위정맥류 출혈의 치료 : GOV1 ; EVL or EVO, GOV2 ; EVO (내시경 정맥류 폐쇄술)를 우선적으로 시행, TIPS : 내시경적 치료가 안될 때, BRTO : 위신단락이 동반된 경우, 수술도 option
  24. EVO (내시경 정맥류 폐색술) : Histoacryl injection = Intramucosal cryo-acryl injection
  25. Dieulafoy’s lesion : 위체부 소만부 (GE junction 6cm 하방) 에서 흔하다. 내시경 소견에서 주위에 ulceration이 거의 없는 normal appearing mucosa 주변부에 protruding된 vessel 형태, 치료는 내시경적 치료 (injection, electrocoagulation therapy, endoscopic band therapy, hemoclips)가 우선적으로 추천된다.
  26. Non bleeding M-W-T의 경우 혈역학적으로 안정적이라면 내시경적으로 low risk region이므로 내시경적 처치 없이 discharge가 가능하다. MWT는 재출혈율이 낮다.
  27. 게실출혈 : 위험인자 ; HTN, 동맥경화, NSAIDs, 우측 게실출혈이 왼쪽보다 더 흔하다. 대부분은 저절로 지혈된다. 출혈병소가 내시경적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내시경적 치료도 가능하다. (Ex. 내시경 클립 지혈술),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할 경우 angiography 고려.
  28. 심혈관질환, 만성신장병, 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고령 환자에서 갑자기 발생한 복통 (주로 좌하복부)과 혈변 증상이 있으면 허혈성 대장염을 의심할 수 있다. 내시경적으로는 창백한 점막 궤양, 점막하 출혈 소견이 확인된다. 조직검사 상에서는 점막의 응고성 괴사와 중성구 침윤 및 육아조직 형성이 관찰된다. 혈관의 폐쇄가 원인은 아님. (조직혈류의 감소가 원인), 대부분 2-4주 내에 내과적 치료에 호전되고 재발하지 않는다.
  29. Chronic mesenteric ischemia는 복통, 설사, 체중 감소를 유발하고, Angioplasty 후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